< 알쓸신잡 1회에 나온 명언/어록 & 잡학 (유시민) >
매판자본
매판자본은 자본의 국적을 따지는 것.
자본의 국적은 우리나라인데 우리 민족의 입장에서 자본을 운영하는 게 아니고
외국의 이익을 위해서 일하는 자본.
< 알쓸신잡 1회에 나온 명언/어록 & 잡학 (황교익) >
우리가 흔히 먹는 장어의 종류
1. 붕장어 (일명 아나고) - 제일 많이 먹음
2. 갯장어 (일명 하모) - 이빨이 사나움
3. 뱀장어 (민물장어)
4. 먹장어 (일명 꼼장어) - 원래 장어과는 아님
< 알쓸신잡 1회에 나온 명언/어록 & 잡학 (유시민) >
연어와 뱀장어의 차이점 中
연어는 알을 낳으러 민물로 올라옴.
뱀장어는 반대로 알을 낳을 때 바다로 가서 알을 낳고 죽음.
알에서 나온 실뱀장어들은 어미 뱀장어가 살던 강을 향해서
3000km 정도를 거슬러 옴.
< 알쓸신잡 1회에 나온 명언/어록 & 잡학 (유시민) >
"자연이 진공을 허용하지 않는 것처럼
권력도 공백을 허용하지 않는다."
< 알쓸신잡 1회에 나온 명언/어록 & 잡학 (김영하) >
"햇빛이 바삭바삭하다."
< 알쓸신잡 1회에 나온 명언/어록 & 잡학 (정재승) >
"정력은 그렇게 함부로 올라가지 않습니다."
< 알쓸신잡 1회에 나온 명언/어록 & 잡학 (정재승) >
사피오 섹슈얼
상대방의 지성에 성적인 매력을 느끼는 사람
< 알쓸신잡 1회에 나온 명언/어록 & 잡학 (박경리) >
박경리 생전 인터뷰 中
"선생님 '토지'를 한마디로 말한다면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?"
"연민이죠."